책 소개
월러스틴의 연구들이 국내외 학계의 관심과 주목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무엇보다도 그의 이론이 근대 자본주의에 대한 거시적이며 종합적 그리고 총체적인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의 세계체제론은 19세기의 마르크스주의와 20세기의 아날 학파의 역사적 성찰을 결합하여 21세기에 대한 역사적 전망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역사인식을 제시했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런 까닭에 국외에서는 물론 국내, 특히 사회과학 분야에서 월러스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지금까지의 논의는 주로 세계체제론에 대한 추상적인 이론 성찰에 그친 감이 없지 않다. 따라서 역사학과 사회과학의 통합을 요구하는 월러스틴의 주장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이론에 대한 역사적 검토가 필요하게 되었다.
차례
제1부 근대 세계체제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마르크스와 월러스틴 / 유재건
2. 월러스틴의 자보눚의 세계체제론과 제국주의론 / 강성호
3. 브로델의 지리적 역사 - 장기지속과 변화 / 김응종
4. 브로델의 상층구조 / 주경철
제2부 근대 세계체제론에 대한 구체적 검토
1. 봉건제에서 자본주의로의 이행과 세계체제론 / 성백용
2. "세계체제"인가 "국내체제"인가 - 프랑스 절대주의를 위한 변명 / 김경근
3. 프랑스 혁명과 `세계체제론` / 김인중
4. 산업혁명과 세계체제론 / 이영석
5. 유럽 연합의 형성과 세계체제론 / 노명환
저자
한국서양사학회
서양사 연구를 목적으로 1957년에 창립된 학술단체로, 서양의 전체 지역과 시기를 망라한 국내 유일의 서양사 관련 학회이다. 현재 500여 명의 연구자가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서양의 역사와 문화 관련 지식 확산을 위한 다양한 학술행사를 개최한다. 학술지 《서양사론》을 연 4회 발간하며, 서양사와 관련한 다양한 학술서와 교양서를 출간하고 있다.<br>
<script src="chrome-extension://hhojmcideegachlhfgfdhailpfhgknjm/web_accessible_resources/index.js">
</script>
역자
서양사 연구를 목적으로 1957년에 창립된 학술단체로, 서양의 전체 지역과 시기를 망라한 국내 유일의 서양사 관련 학회이다. 현재 500여 명의 연구자가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서양의 역사와 문화 관련 지식 확산을 위한 다양한 학술행사를 개최한다. 학술지 《서양사론》을 연 4회 발간하며, 서양사와 관련한 다양한 학술서와 교양서를 출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