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해방 3년사 : 2

해방 3년사 : 2

책 소개

이 책은 1945년 우리 민족이 일제 통치에서 해방된 시점으로부터 1948년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기까지의, 그 정치적 운명이 확정되는 3년 동안의 기록이다. 이 시기는 이른바 냉전 체제라는 새로운 국제정치 질서가 형성되기 시작한 시기로서 한국, 아니 정확하게는 남한이 세계 자본주의 체제에, 그것도 그 체제의 최중심부인 미국과의 압도적인 관계 속에서 결정적으로 재편입되는 시기이다. 8-15 해방 이후, 건국준비위원회의 발족, "조선인민공화국" 발족 선언, 친일파의 연명 책동, 이승만 및 임시정부 중심의 해외 세력의 귀국 등은 "해방"과 "점령"의 이 땅의 정계를 더욱 혼돈케 하여 대립은 더욱 첨예화되었다. 정당의 이합집산과 민족 통일 운동의 좌절, 모스크바 3상 회의 결정 이후 찬반탁을 중심으로 한 좌우의 대립,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의 개최 등에 따른 정국은 민족 통일이라는 민족 지상의 당위적 문제를 뒷전에 둔 채 정권 획득이라는 소아병적 국면으로 전개되었다. 여운형과 김규식이 시도한 좌우합작과 김구와 김규식이 시도한 남북협상은 통일을 갈망하는 민족의 꿈을 이루어주지 못한 채 무위로 돌아갔고, 그들은 민족과 역사에 대한 자신들의 경륜과 포부는 펴보지도 못한 채 정치 현실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차례

[제1차 미-소공위와 좌우 합작 운동] 미-소동동위원회의 개최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 전후의 미군정의 실태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의 결렬과 국내 정세 [제2차 미-소공위와 단독 정부 수립 운동] 미-소공위 재개를 위한 미-소간의 절충 과정 미-소공위의 재개 한국 문제의 유엔 이관 [남북협상] 남북협상의 배경 협상의 전개 과정 전조선정당사회단체대표자 연석회의 남북조선제정당사회단체지도자 협의회(남북요인회담) 金九와 金奎植의 귀환 미군정과 金奎植 [대한민국 정부 수립] 헌법 공포와 정부 수립

저자

송남헌
"大邱師範學敎卒業 民主議院·立法議院 議長 金奎植博士 秘書室長 左右合作委員會 右側秘書 民族自主聯盟 秘書處長·常任委員 南北協商 民聯代表 民族統一促進會 運營委員會議長"

함께하면 좋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