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문학비평

반영이론과 생산이론

문학비평

반영이론과 생산이론

책 소개

이글튼에게서 문학 텍스트는 이데올로기의 복합적 산물이면서 그 생산과정을 드러내 보여주는 곳이다. 이때 텍스트는 이데올로기를 단순히 "반영"하거나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과정 속에서 "변형"시키고 "굴절"시킨다. 따라서 문학작품이 이데올로기의 표현에 불과하다는 속류 마르크스주의의 비평 혹은 문학이 당면하고 있는 이데올로기에 도전한다고 보는 에른스트 피셔의 이론 등은 부적절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데올로기와 텍스트의 관계는 그보다 훨씬 복잡한 것으로서 작가 개인의 이데올로기로 판정할 문제가 아니다. 따라서 이글튼은 작품이 정치적으로 진보적인가 혹은 작가의 이데올로기가 진보적인가 반동적인가 하는 문제는 정초가 될 수 없다고 못박는다.

차례

서문 1. 문학과 역사 1) 마르크스와 엥겔스 그리고 비평 2) 토대와 상부구조 3) 문학과 이데올로기 2. 형식과 내용 1) 역사와 형식 2) 형식과 이데올로기 3) 루카치와 문학형식 4) 골드만과 발생론적 구조주의 5) 피에르 마셔레이와 '탈중심화된' 형식 3. 작가와 참여 1) 예술과 프롤레타리아 2) 레닌과 트로츠키와 참여 3) 마르크스와 엥겔스와 참여 4) 반영이론 5) 문학적 참여와 영국의 마르크스주의 4. 생산자로서의 작가 1) 생산으로서의 예술 2) 발터 벤야민 3)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서사'극 4) 형식과 생산 5) 리얼리즘이냐 모더니즘이냐 6) 의식과 생산 역자 후기 참고 문헌

저자

테리 이글튼Terry Eagleton

함께하면 좋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