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아마존과 <뉴욕 타임스>에서 논픽션 부분 베스트셀러 1위에 오름으로써 작품성에 이어 대중성도 확보한 <아인슈타인 : 삶과 우주>는,
얼마 전 라이언스게이트에 의해서 영화화가 결정됨으로써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공개된 "은밀한" 자료를 토대로 쓴 아인슈타인의 "완벽한" 첫 전기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그 누구의 추종도 불허하는 역사적, 천재적 인물이다. 그는 상대성 이론을 정립한 단순한 과학계의 한 인물이 아니라 인류의 세계관을 완전히 바꿔놓은 거인이다. 형형한 눈빛과 마구 헝클어진 머리카락이 극단적으로 대비되는 아인슈타인의 모습은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높이 솟아 있는 아이콘이다. 아인슈타인의 정신은 어떻게 작동했을까? 무엇이 그를 천재로 만들었을까? 이 책은 세기의 독행자(獨行者) 아인슈타인이 어떻게 위대한 과학적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었는지를 꼼꼼하게 보여준다.
차례
감사의 글 _ 9
인물 소개 _ 15
1 광선 이동 _ 21
2 어린 시절, 1879-1896년 _ 30
3 취리히 폴리테크닉, 1896-1900년 _ 57
4 연인들, 1900-1904년 _ 78
5 기적의 해:양자와 분자, 1905년 _ 124
6 특수상대성, 1905년 _ 143
7 가장 행복한 생각, 1906-1909년 _ 180
8 방랑하는 교수, 1909-1914년 _ 201
9 일반상대성, 1911-1915년 _ 238
10 이혼, 1916-1919년 _ 278
11 아인슈타인의 우주, 1916-1919년 _ 306
12 명성, 1919년 _ 321
13 방황하는 시온주의자, 1920-1921년 _ 341
14 노벨 상 수상자, 1921-1927년 _ 372
15 통일장 이론, 1923-1931년 _ 402
16 50대로 접어들기, 1929-1931년 _ 425
17 아인슈타인의 신 _ 455
18 망명자, 1932-1933년 _ 467
19 미국, 1933-1939년 _ 502
20 양자 얽힘, 1935년 _ 528
21 폭탄, 1939-1945년 _ 554
22 세계주의자, 1945-1948년 _ 572
23 경계석, 1948-1953년 _ 595
24 빨갱이 공포, 1951-1954년 _ 613
25 종말, 1955년 _ 626
에필로그:아인슈타인의 뇌와 그의 정신 _ 636
참고 문헌 _ 645
주 _ 657
역자 후기 _ 725
인명 색인 _ 729
저자
월터 아이작슨Walter Isaacson
아스펜 연구소의 대표로 CNN의 회장과 「타임」지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그는 <벤저민 프랭클린 : 인생의 발견(Benjamin Franklin : An American Life)>, <키신저 평전(Kissinger : A Biography)>의 저자이고, <현자들:여섯 친구와 그들이 만든 세계(The Wise Men : Six Friends and the World They Made)>의 공저자이다. 그는 워싱턴 D.C.에서 부인과 딸과 함께 살고 있다.
역자
이덕환
서울대학교 화학과 졸업(이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화학과 졸업(이학석사), 미국 코넬 대학교 졸업(이학박사),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연구원을 거쳐 서강대학교 에서 34년 동안 이론화학과 과학커뮤니케이션을 가르치고 은퇴한 명예교수이다. 저서로는 『이덕환의 과학세상』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거의 모든 것의 역사』, 『지금 과학』, 『질병의 연금술』, 『화려한 화학의 시대』,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아인슈타인 : 삶과 우주』, 『춤추는 술고래의 수학 이야기』 등 다수가 있으며, 대한민국 과학문화상(2004),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상(2006), 과학기술 훈장웅비장(2008), 과학기자협회 과학과 소통상(2011), 옥조근정훈장(2019), 유미과학문화상(2020)을 수상했다.
출판사 리뷰
수많은 아인슈타인의 전기물 가운데서도 특히 이 작품이 세인의 관심을 끄는 이유는, 가장 최근에 공개된 은밀한 편지들까지 조사하여 너무나 인간적인 천재이자 인류를 사랑하는 뜨거운 가슴을 지닌 한 인간으로서의 아인슈타인의 양면 세계를 모두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즉 아인슈타인의 힘든 결혼생활은 물론이고, 교수직과 박사학위를 얻지 못해 애쓰던 한 아버지이자, 상상력은 풍부하지만 걷잡을 수 없었던 성격의 특허사무소의 한 심사관이기도 했던 창조주의 독심술사(讀心術士)가 되고, 원자와 우주의 신비를 풀게 되는 열쇠공이 된 과정을 보여준다. 그의 성공은 일상적인 사물에 의문을 품고, 보통 사람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여기는 현상에서 신비와 경이를 느끼고, 비범한 지혜와 무한대의 상상력이 작동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그 과정에서 그는 자유의 정신과 영혼과 개인을 존중하는 도덕적, 정치적 견해를 가지게 되었다. 그런 특징들은 오늘날 새로운 세계화의 세기에도 여전히 중요하다. 아인슈타인이 새로운 시대를 열었던 지난 세기 초에도 그랬듯이 오늘날 우리의 성공도 우리의 창의성에 의해서 결정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