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책 소개

현상학과 변증법적 유물론의 중층적 매개가 시도되는 이 압축적인 책은 전후에 불가피하게 현상학과 대면한 세대였던 저자가 사회와 역사를 내면화해가는 도정을 측면적으로 보여준다. 이 책의 제1부는 후설 사상의 핵심적인 구조와 그것의 내적 전개 속에서 산출되는 기본 개념들이 요약적으로 해명되고 헤겔 현상학과 후설 현상학의 공통분모와 차이성이 논해진다. 제2부에서는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관계라는 문제틀 속에서 심리학, 사회학, 역사학을 차례로 논함으로써 실증주의의 위기를 기점으로 과학 일반과 정신과학의 가치를 복구하려 한 후설의 문제의식을 현재적으로 반추한다...특히 마지막 장인 "현상학과 역사"에서는 마르크스주의 진영으로부터 현상학에 대한 비판과 현상학의 역사에로의 내속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현대 프랑스의 대철학자 중의 한 사람인 리오타르가 쓴 이 현상학 입문서는 현상학에서의 구조와 발생의 문제를 해명하는 동시에 마르크스주의와 현상학이 만나는 1960년대 프랑스의 철학적 분위기의 한 "장면"을 보여준다. 20세기의 대륙의 위대한 철학자들은 대부분 현상학과의 대결로부터 그들의 사상의 원천과 지렛대를 찾았다. 마르크스주의보다 현상학을 먼저 만난 철학자들이었건, 그 반대 경우의 철학자들이었건 그들에게 있어서 사상 전개의 매개로서의 현상학은 지울 수 없는 철학사적 흔적을 만들게 된다...그것이 해석학의 정초를 위한 것이었든, 마르크스주의를 위한 것이었든 또는 현상학의 철저화를 통한 현상학의 탈구축을 시도한 것이었든 후설과의 대결은 모두 필연적이었다. 아무튼 마르크스주의아 함께 유럽 철학의 큰 두 흐름을 이루는 현상학의 이해 없이는 현대 철학의 중요한 성과의 많은 부분을 놓치게 될 것임이 분명하다.

차례

머리말 제1부 후설 1. 형상적인 것 2. 선험적인 것 3. 생의 세계 4. 후설과 헤겔에 관한 노트 제2부 현상학과 정신과학 1. 현상학과 정신과학의 관계 2. 현상학과 심리학 3. 현상학과 사회학 4. 현상학과 역사 맺음말 역자 후기 참고 문헌

저자

장-프랑수아 리오타르Jean-François Lyotard

함께하면 좋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