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비잔티움 제국사

324-1453

비잔티움 제국사

324-1453

책 소개

이 책은 그 최초의 단계에서는 로마 제국의 한 새로운 시대에 불과했던 비잔티움이 고대 로마의 행정, 그리스의 문화, 기독교 신앙을 발판으로 삼아서 어떻게 독자적인 비잔티움 국가체제로 발전해갔는지를 조명하고 있다. 비잔티움 역사 연구의 일인자로 꼽히는 오스트로고르스키는 그간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하여, 천년 이상 지속된 이 대제국의 변화무쌍한 운명을 그것과 인과적 필연적 관련을 맺고 있는 대내외적 정치사건들 및 주변 세계의 도전, 국가제도 및 법제도, 경제사회적 토대 등과 당대인들의 생생한 삶의 온전한 집결체로서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다.

차례

1. 초기 비잔티움 국가발전의 기본 특징(324-610) 기독교화한 로마 제국 민족 대이동과 그리스도론 논쟁의 시대 유스티니아누스의 복고작업과 그 와해 2. 비잔티움 국가의 생존투쟁과 쇄신(610-711) 페르시아 전쟁 및 아바르 전쟁과 헤라클레이오스의 개혁작업 아랍인들의 침략의 시대 콘스탄티노플의 구출과 신질서의 완성 헤라클레이오스 왕조의 몰락 3. 성상 파괴 위기의 시대(711-843) 제위의 혼란 성상 파괴와 아랍 전쟁:레온 3세 성상 파괴와 불가리아 전쟁:콘스탄티노스 5세 성상 파괴 운동의 후퇴와 성상 숭배의 재건 비잔티움과 샤를마뉴 니케포로스 1세의 개혁과 대외정치적 위험:비잔티움과 크룸 성상 파괴의 반동 4. 비잔티움 제국의 전성기(843-1025) 새로운 시대의 시작 법전 편찬의 시대:바실레이오스 1세와 레온 6세 비잔티움과 불가리아의 시메온 봉건세력에 대한 중앙권력의 투쟁과 비잔티움 황실의 문화적 전성기:로마노스 라카페노스와 콘스탄 티노스 포르피로게네토스 정복의 시대:니케포로스 포카스와 요안네스 치미스케스 비잔티움 세력의 절정:바실레이오스 2세 5. 수도 관료귀족의 지배(1025-1081) 중기 비잔티움 국가체제의 해체 대내정치 및 대외정치의 쇠퇴 6. 군인 귀족의 지배(1081-1204) 비잔티움 제국의 재건: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 새로운 권력의 전개와 최초의 반격들:요안네스 2세와 마누엘 1세 안드로니코스 콤네노스의 부흥 시도 붕괴 7. 라틴인들의 지배와 비잔티움 복구(1204-1282) 새로운 국가체제의 형성 에피로스의 흥망:니카이아의 승리 복구의 서곡 강국 비잔티움의 재건:미카일 8세 8. 비잔티움 제국의 쇠망(1282-1453) 소국으로서의 비잔티움 내전의 시대:발칸에서 세르비아의 우세 오스만인들의 발칸 반도 정복:투르크의 가신국가로서의 비잔티움 비잔티움의 멸망

저자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Georg Ostrogorsky
유고슬라비아의 역사가. 1902년 러시아의 뻬쩨르부르그에서 출생한 후 러시아 혁명기에 국외로 망명하여 하이델베르크 대학과 파리 대학에서 수학했다. 특히 독일에서 활동하여 브레슬라우 대학에서 비잔티움학 강사를 지내면서 「비잔티움 성상 논쟁의 역사」(1929, 교수자격획득 논문)를 발표했다. 이후 나치 독일의 박해를 피해서 프라하를 거쳐 유고슬라비아의 베오그라드로 이주하여 1976년 사망 때까지 베오그라드 대학 교수, 유고슬라비아 학사원 비잔티움 연구소장 등을 역임하며 비잔티움 역사 연구의 20세기 최고 권위자로서의 명성을 유지했다. 그의 주저인 『비잔티움 국가의 역사』(1940)는 가장 표준적인 비잔티움 역사 개관서이자 이 분야의 획기적인 역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역자

한정숙, 김경연
한정숙 서울대학교 역사교육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 서양사학과를 졸업한 뒤 독일 튀빙겐 대학교에서 혁명기 러시아의 경제사상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여자대학(현 신라대학교)·세종대학교·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교수를 거쳤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주로 러시아사, 우크라이나사, 여성사에 관한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고 있으며, 『노동의 역사』(한길사, 1981) 『봉건사회』(한길사, 1986) 『비잔티움 제국사』(공역, 까치, 1999) 『우크라이나의 역사』(공역, 아카넷, 2016)를 비롯해 서양사에 관한 여러 책을 번역했다. 김경연 서울대학교에서 독문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독일 아동 및 청소년 아동 문학 연구’라는 논문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독일 판타지 아동 청소년 문학을 주제로 박사 후 연구를 했다. 옮긴 책으로 《교실 뒤의 소년》 《소리 내어 말하지 않아도》 《미움을 파는 고슴도치》 《행복한 청소부》 《책 먹는 여우》 《빨간 나무》 《이너 시티 이야기》 《마녀 사냥》 등이 있고, 평론집으로 《우리들의 타화상》이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독문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독일 아동 및 청소년 아동 문학 연구’라는 논문으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독일 판타지 아동 청소년 문학을 주제로 박사 후 연구를 했습니다. 옮긴 책으로 《폭풍이 지나가고》 《교실 뒤의 소년》 《미움을 파는 고슴도치》 《다르면서 같은 우리》 《행복한 청소부》 《책 먹는 여우》 등이 있습니다.

함께하면 좋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