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지금부터 약 천 년 전, 중세 유럽인들은 동방세계에 거대한 기독교 왕국이 존재하며 요한이라는 강력한 사제왕이 그 나라를 다스리고 있다고 믿었다. 당시 지중해 동쪽 레반트 지방에서 무슬림들과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던 십자군은 동방의 기독교 군주 요한이 어서 빨리 와서 ‘사라센’을 물리쳐주었으면 하고 고대했지만, 그는 끝내 나타나지 않았다. 그렇다면 그들이 믿고 매달렸던 ‘요한의 왕국’은 한낱 허상에 불과했던 것일까?
결코 그렇지 않았다. 기독교도들이 동방에 살고 있었던 것은 분명히 사실이었다. 그들은 아시아 내륙지방의 초원과 사막, 인도와 중국 등지에까지 널리 분포되어 있었다. 다만 서구인들이 희망했던 것처럼 ‘사라센’을 일거에 쓸어버릴 정도로 그렇게 강력한 왕국이 아니었을 뿐, 당시 서구인들이 동방에 대해서 가졌던 생각이 근거 없는 환상이라고만 말하기는 힘들다.
동방 기독교의 일파인 네스토리우스교(경교)는 중세 서구인의 관점에서 보면 이단이었다. 431년, 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의 총주교였던 네스토리우스가 이단으로 몰려 파문에 처해진 뒤, 그의 교리를 추종하던 사람들은 로마 제국의 박해를 피해 동방으로 올 수밖에 없었다. 그 뒤 그들은 놀라운 열정을 발휘하여 아시아 각지에서 개종자를 확보해나갔다.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엄청난 박해와 순교가 페르시아 지방에서도 100년 이상 계속되었고, 그것을 견디어낸 장본인들이 바로 동방의 기독교도들이었다. 기독교도의 박해와 순교라고 하면 폭군 네로와 콜로세움을 떠올리기 마련이지만, 페르시아의 군주 야즈데게르드의 박해와 하루 아침에 15만 명 이상의 순교자를 낸 키르쿠크의 참상 또한 엄연한 역사적 진실이다.
물론 동방 기독교도들의 생활이 언제나 열정과 헌신에 찬 ‘이상적인’ 모습만은 아니었다. 네스토리우스교는 동아시아로 전래된 뒤 불교나 도교의 영향을 받아 본래의 모습을 알아보기도 어려울 정도로 바뀌기도 했다. 예를 들면 영락없는 보살의 모습을 한 예수의 보습이 그려진 벽화가 발견되기도 하고 도교나 불교에서 차용한 개념으로 교리나 십계명-십원(十願)이라고 불렸다-을 설명한 경전들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한 인류의 구원이라는 기독교의 근본 신조를 저버린 것이 아니라 군주나 권력자의 호의를 얻고 포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들은 결코 이단자나 타락한 교인이 아니라 동방에 기독교 교리를 전파하며 다양한 서구문화를 전달해준 문화의 전령이었다.
차례
머리말
제1장 사제왕 요한
최초의 소식
야율대석
사제왕 요한의 친서
다윗 왕의 출현
몽골의 공포
'지옥'으로
요한 왕의 사망소식
루브룩의 선교여행
마르코 폴로
사제왕 요한의 최후
제2장 동방으로
네스토리우스
박해와 교단
아무다리아를 넘어
경교비
중국 경교회 150년의 역사
아라본 문서
경정의 역경사업
경교의 쇠퇴
실크로드를 따라서
제3장 초원의 십자가
올론 숨
투르크 유목민의 개종
웅구트족의 기원
기독교를 믿은 몽골의 왕후들
신하와 대칸
몽골의 종교정책
종교회의
오르두의 사제들
카라코룸의 부활절
마르 세르기스의 일곱 교회
기독교의 분포
제4장 꺼져가는 불꽃
야발라하 3세의 즉위
랍반 소마의 유럽여행
교단의 몰락
마씨 일가
가톨릭의 도전
흑사병
잊혀진 교단
저자
김호동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하버드 유학 시절에 『집사』를 읽기 시작하였고, 2004년부터 2023년까지 『집사』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라시드 앗 딘의 집사』(전 5권)는 2023년 한국출판문화상 올해의 번역서로 선정되었다. 몽골제국과 중앙유라시아 역사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Mongol Empire(케임브리지 몽골제국사)』(전 2권, 2023)의 대표 저자를 맡기도 했다.
지은 책으로 『근대 중앙아시아의 혁명과 좌절』, 『황하에서 천산까지』, 『동방 기독교와 동서문명』, 『몽골제국과 고려』,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아틀라스 중앙유라시아사』, 『한 역사학자가 쓴 성경 이야기: 구약편』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역사서설』, 『유목 사회의 구조』,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이슬람 1400년』, 『몽골제국 기행: 마르코 폴로의 선구자들』 등 여러 권의 책을 번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