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지중해 :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 세계 제II부

집단적 운명과 전체적 움직임 (상)

지중해 :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 세계 제II부

집단적 운명과 전체적 움직임 (상)

책 소개

역사학의 “교황”, 위대한 역사가 페르낭 브로델의 역작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 세계를 3부로 나누어 촘촘하게 재구성한 명저 현대 역사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역사가 페르낭 브로델이 1923년에 집필을 시작하여 1949년에 출간한 20세기의 위대한 고전 <지중해>가 드디어 국내에 출간되었다. 방대한 스케일, 엄청난 자료, 참신한 해석의 틀 등이 압도하는 이 책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부분은 그 자체로 총체적인 설명을 시도한다. 시간적으로는 펠리페 2세 시대, 곧 16세기 후반기 50여 년이라는 짧은 시간이 연구 대상이지만, 공간적으로는 지브롤터 해협에서 레반트 지역에 이르는 거대한 지중해의 바다와 육지 세계를 전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리고 지중해 세계와 연결되는 내륙의 나라들과 지역들이 포함된다. 페르낭 브로델은 당시 “지중해”의 인간들, 사건들, 사물들, 자연(산, 강, 평야, 사막 등), 도시, 경제, 사회 등을 총체적으로 아우르는 전체사를 훌륭하게 구현한다.

차례

제II부 집단적 운명과 전체적 움직임 제1장 경제:16세기의 규모 1. 공간, 제1의 적 편지 쓰는 사람들:편지 배달에 소요되는 시간 / 바다의 크기:속도에 관한 몇 가지 기록들 / 평균 속도 / 베네치아를 통해서 본 편지의 이동 속도 / 뉴스라는 사치품 / 오늘날과의 비교 / 제국과 공간 / 클로드 뒤 부르의 세 가지 임무(1576년과 1577년) / 거리와 경제 / 정기시, 경제생활의 보조 네트워크 / 지역 경제권 / 사각형:제노바, 밀라노, 베네치아, 피렌체 2. 인구수 6,000만-7,000만 명의 세계 / 지중해의 황무지들 / 100퍼센트의 인구 증가? / 인구 수준과 지수 / 유보와 결론 / 확인과 제안 / 몇 가지 확실한 사실들 / 또 하나의 문제:이주 3. 지중해 경제의 “모델”을 만들 수 있을까? 농업:주요 산업 / 산업의 수지균형 / “선대제”와 도시 산업의 성장 / 선대제의 발달 / 이동하는 노동자들 / 전체적인 추세와 지역적인 추세 / 상거래의 규모 / 장거리 교역의 중요성과 한계 / 자본주의적인 집중 / 지중해 선박들의 총 톤수 / 육상 수송 / 영토국가, 16세기 최대의 사업가 / 귀금속과 화폐경제 / 인구의 1/5이 빈곤 상태였을까? / 잠정적인 분류 / 빈곤의 기준으로서의 음식:공식적인 배급은 늘 괜찮아 보였다 / 계산은 검증될 수 있을까? 제2장 경제:귀금속, 화폐, 물가 1. 수단의 금과 지중해 동쪽으로 빠져나가는 귀금속 / 수단의 금:초기 역사 / 기니의 포르투갈인들:금은 항상 지중해로 들어온다 / 콩종튀르의 원인들 / 수단 금의 북아프리카 유입 2. 아메리카 대륙의 은 아메리카와 에스파냐의 보물 / 아메리카 대륙의 귀금속이 안트베르펜으로 들어오다 / 프랑스 경유 / 바르셀로나에서 제노바로 가는 노선과 아메리카 귀금속의 두 번째 주기 / 에스파냐 화폐가 지중해를 침략하다 / 이탈리아, 넘쳐나는 돈의 희생양이 되다 / 제노바인의 세기 / 피아첸차 정기시 / 환어음의 세기 / 펠리페 2세의 마지막 국가 파산에서 1607년 펠리페 3세의 첫 파산까지 3. 가격 상승 당대인들의 탄식 / 아메리카의 귀금속이 이 문제의 원인이었을까? / 아메리카 귀금속이 문제의 원인이었다는 주장에 대한 찬성과 반대 / 임금 / 토지 수입 / 은행과 인플레이션 / “제조업자들”/ 국가와 가격 상승 / 아메리카 “귀금속”의 가치 하락 / 평가절하된 화폐와 위조 화폐 / 세 번의 금속 시대 제3장 경제:상업과 수송 1. 후추 교역 지중해의 반격:1550년 이후 홍해 교역의 번성 / 레반트 교역로 / 포르투갈 후추 교역의 회복 / 포르투갈의 후추:계획과 거래 / 베네치아에 공급된 포르투갈의 후추 / 벨저 가문과 푸거 가문의 계약, 1586-1591년 / 레반트 향신료 루트의 영속성 / 가능한 설명들 2. 지중해 소맥 무역의 균형과 위기 밀 / 곡물 교역의 몇 가지 규칙들 / 해로에 연결된 곡물 교역 / 곡물 수출항과 곡물 수출국 / 오리엔트의 밀 / 곡물 교역의 균형, 위기 그리고 부침 / 첫 번째 위기:북유럽의 밀이 리스본과 세비야로 들어오다 / 투르크 밀 교역의 급성장:1548?1564년 / 자국에서 생산된 빵 먹기:1564년부터 1590년까지 이탈리아의 상황 / 마지막 위기:1590년 이후의 북유럽의 밀 / 시칠리아는 시칠리아로 남다 / 밀의 위기에 관하여3. 교역과 수송:대서양의 범선들 1) 1550년 이전:첫 번째 지중해 진출 바스크, 비스카야와 갈리시아의 선박들 / 포르투갈인들 / 노르망디인과 브르타뉴인 / 플랑드르 선박 / 잉글랜드 범선의 첫 번째 지중해 진출 / 번영의 시기(1511?1534) 2) 1550년부터 1573년까지 지중해는 지중해인의 것이다 / 1572?1573년 영국인들의 지중해 귀환 / 잉글랜드와 투르크의 교섭:1578?1583년 / 잉글랜드 항해의 성공 / 16세기 말의 상황 / 한자 동맹과 홀란드 상인들의 지중해 진출 / 밀에서 향신료로:홀란드 상인들의 지중해 장악 / 어떻게 홀란드인은 총 한 방 쏘지도 않고 1570년부터 세비야를 장악할 수 있었을까? / 지중해의 신기독교도들 / 북유럽인들의 지중해 진출과 지중해의 쇠퇴 제4장 제국 1. 제국의 기원 위대한 오스만 투르크 제국:소아시아에서 발칸 반도까지 / 시리아와 이집트를 점령한 투르크인들 / 내부에서 본 오스만 제국 / 에스파냐의 통일: 이사벨과 페르난도 공동 국왕 / 카를 5세 / 펠리페 2세의 제국 / 우연과 정치적 이유 2. 국가의 자원과 약점 “관리” / 관직 세습과 관직 매매 / 지방의 자치 / 국가의 재정과 차입 / 1600?1610년:중소 규모 국가들의 약진?

저자

페르낭 브로델Fernand Braudel
역사에 관한 연구에 혁명을 일으킨 프랑스 아날 학파의 리더. 1902년에 프랑스의 로렌 지방에서 태어났다. 소르본 대학교에서 역사학과 지리학을 전공하여 1923년에 학위를 받았고, 알제리, 프랑스, 브라질 등지에서 강의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독일군의 포로가 되어 5년 동안 감옥에 있었는데, 이때 그의 첫 번째 대작인 『지중해 :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 세계(La Méditerranée et le Monde Méditerranéen à l’Époque de Philippe II)』를 구상했으며 이 책은 1949년에 출판되었다. 콜레주 드 프랑스의 교수로 재직했고 1956년 「아날(Annales)」의 편집인이 되었다.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 소장, 인간과학연구소의 소장을 역임했으며, 1983년에는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수많은 세계 유수의 대학교의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고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교육공로자 훈장을 받았다. 1985년에 영면했다. 주요 저서로 『지중해』, 『프랑스의 정체성(L’Identité de la France)』, 『자본주의의 역동성(La Dynamique du Capitalisme)』, 『문명의 문법(Grammaire des Civilisations)』, 『지중해에 대한 추억(Les Mémoires de la Méditerranée)』 등이 있다.

역자

남종국, 윤은주
남종국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프랑스 파리 1대학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세 지중해 문명 교류의 역사, 중세 이탈리아 상인들, 몽골 평화 시대 동서교류사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 「중세 해상 제국 베네치아: 신화인가, 실체인가?」「1480년 예루살렘 순례 여행」등이 있고, 「상업 기록 속의 중세 이탈리아 상인과 상업 세계」, 「중세 말 유럽에서의 향신료」, 「중세 말 베네치아의 해상 네트워크」 등의 다수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는 『지중해 교역은 유럽을 어떻게 바꾸었을까?』, 『이탈리아 상인의 위대한 도전》, 『중세 해상제국 베네치아』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프라토의 중세 상인』, 『지중해: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 세계 2-1, 2-2』(공역) 등이 있다. 윤은주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학교 강의교수로 재직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근대국가의 재정혁명: 조세제도를 통해 본 영국과 프랑스의 재정 비교」 「18세기 프랑스 경제위기 논의: 라브루스의 농업위기론을 중심으로」 「18세기 파리 어느 살로니에르의 초상: 수잔 네케르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역서로 『만델라 평전』이 있으며, 『히스토리』와 『펠리페 시대의 지중해』를 공역했다.

출판사 리뷰

16세기 지중해는 세계의 중심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펠리페 2세 통치기의 지중해 세계는 방대하고 광범위한 교역이 일어나는 곳이었을 뿐만 아니라 물적, 인적 교류가 활발하게 펼쳐지던 놀라운 세계였다. 역사학계의 “교황”이라고 불리는 페르낭 브로델은 각국의 문서보관소에 있는 당시의 문서들을 샅샅이 파헤침으로써 16세기의 지중해 세계를 엄밀하게 재구성하여 현대의 독자들에게 생생하게 보여준다. “제II부 집단적 운명과 전체적 움직임”은 집단의 역사, 집단적 운명의 역사, 전체적 움직임의 역사, 즉 사회사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책에서는 느리게 변해가는 사회구조뿐만 아니라 구조의 움직임에도 관심을 가지고 살펴본다. 바로 구조(structure) 혹은 콩종튀르(conjoncture)라고 부르는 것을 말한다. 이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경제, 국가, 사회, 문명, 마지막으로 다양한 형태의 전쟁과 관련된 문제들을 순차적으로 다룬다. “제1장 경제 : 16세기의 규모”는 지리적인 공간을 바탕으로 지중해 세계에서 어느 정도의 속도로 소식이 전해지고 교역이 이루어졌는지를 다룬다. 또한 정기시를 통해서 이루어진 교역과 지중해 인구를 추론한다. “제2장 경제 : 귀금속, 화폐, 물가”에서는 지중해로 유입된 북아프리카의 금과 아메리카의 은을 추적하여 16세기의 경제 상황을 살펴본다. 특히 이런 귀금속의 유입으로 인해서 이루어진 가격 상승의 여파를 다룬다. “제3장 경제 : 상업과 수송”은 주요 교역 대상인 후추와 밀을 중심으로 하여 지중해에서 이루어진 교역의 양과 방향을 추정한다. 뿐만 아니라 이때부터 시작된 대서양 범선들의 지중해 진출이 지중해에 미친 영향을 다룬다. “제4장 제국”은 지중해의 주요 제국인 오스만 투르크 제국과 에스파냐 제국의 상황을 면밀히 검토한다. 또한 제국의 행정을 담당하는 “관리”와 지방의 자치 현황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5장 사회”에서는 변화를 맞은 귀족 계급과 오스만 제국의 귀족들 그리고 부르주아의 등장으로 인해서 야기된 신분제의 변천을 다룬다. 또한 강도질과 도적들의 증가로 귀결된 사회적 불안 요인들을 살펴본다. “제6장 문명”은 문명이 어떻게 변화하고 전이되는지를 파악한다. 투르크인, 에스파냐 모리스코와 지중해 세계의 갈등, 지중해에서 문명 확산의 중심지였던 로마와 에스파냐의 상황을 살펴본다. “제7장 전쟁의 여러 형태들”은 지중해의 각 나라들이 적을 방어하기 위해서 국경선에 건설한 요새와 해안을 수비하기 위한 해안 경비에 대한 이해를 시도한다. 또한 전쟁의 또다른 형태라고 할 수 있는 해적질과 사략을 다룬다. “제8장 결론을 대신하여”는 지중해에서 일어난 장기 변동을 전체적으로 살펴본다. 20세기 위대한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은 펠리페 2세 시대, 즉 16세기 후반기의 지중해 세계를 놀라운 정도로 선명하게 재구성한다. 방대한 문서들을 바탕으로 촘촘하게 재구성된 지중해 세계의 놀라운 이야기는 독자들에게 흥미로운 독서가 될 것이다. 또한 [타임]지가 선정한 20세기 최고의 책 100권에 뽑힌 ??물질문명과 자본주의??와 함께 읽는다면, 역사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함께하면 좋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