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이 시대의 우리에게 사회과학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가? 물론 사회과학은 우리 사회에 대한 객관적이며 과학적 인식을 위한 하나의 지적 작업임에는 틀림없다. 사회과학의 대상이 오늘날 우리의 현재의 삶을 규정하는 중심적이고도 핵심적인 문제라고 한다면 그것은 자본주의 사회질서의 구조와 그 구조 내에서의 갈등적 사회관계, 국가의 강권적 통제의 강화, 보수주의를 내화시키는 이데올로기적 통제의 강화, 분단현실 그리고 민주화에 대한 열화 같은 요구 등의 문제들과 직접 대면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정치적 조건들이 역사의 계기마다에서 독립적으로 분절화된 현재적인 구조의 형성물이 아니라 과거의 현실로부터 전수되고 퇴적된 역사에 의해 규정된 역사적 현실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것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헤게모니 세계체제 내의 위계적 구조와 이것이 한국 사회로 응축하여 외화된 기본 질서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제와의 대면을 의미한다.
차례
[한국 현대 정치의 분석을 위한 이론적 문제]
그람시의 헤게모니 이론
한국 현대사 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려
민족주의와 코포라티즘
관료권위주의 개념과 한국적 적용의 문제
[한국 현대 정치의 역사와 갈등구조]
과대성장국가의 형성과 정치균열의 전개
미군정하 국가다원주의의 형성과 정치균열의 역사적 기원
한국전쟁의 시각변화
한국 사회의 정치 이데올로기 구조
[민주화와 이행의 문제]
군부권위주의 체제의 내부 모순과 변화의 동학 1972-1986
경제적 불평등과 정치적 민주화
민주화의 두 개념―절차적 민주주의와 실질적 민주주의
국가다원주의의 위기와 1988년 4-26 총선의 의미
'지역감정'의 정치적 기능
민주화 정치연합의 형성과 분해과정―6월 민주항쟁부터 6-10통일운동까지
보론 : 노동계급의 참여와 그 한계
저자
최장집
강원도 강릉 출생.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미국 시카고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 받음. 현재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저서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열음사, 1988) 등. 편서 『한국현대사 I』(열음사, 1985), 『한국자본주의와 국가』(한울, 1985)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