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정치사상과 정치적 관행의 관계를 분석하는 정치에 대한 일반적인 개론서로서, 정치적인 분석에서 접하게 되는 주요한 개념에 대한 지침서로서, 그리고 정치이론의 입문서로서 계획되었다. 이 책은 정치이론의 근대적인 발전과 서로 대립되는 학파 안에서 이론의 중요성이 변화하는 양상에도 주의를 기울였으며, 주요한 사상과 사상가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구성되었다.
차례
차례
제3판에 대한 서문
제1장 개론 : 정치에서의 개념과 이론
1. 서론 / 2. 언어와 정치 / 3. 정치적인 개념과 이해 / 4. 정치이론이란 무엇인가?
5. 21세기의 정치이론 / 6. 요약 / 7. 참고 도서
제2장 인간의 본성, 개인과 사회
1. 서론 / 2. 인간의 본성 / 3. 개인 / 4. 개인 / 5. 요약 / 6. 참고 도서
제3장 정치, 정부 그리고 국가
1. 서론 / 2. 정치 / 3. 정부 / 4. 국가 / 5. 요약 / 6. 참고 도서
제4장 주권, 국가 그리고 초국가주의
1. 서론 / 2. 주권 / 3. 국가 / 4. 초국가주의 / 5. 요약 / 6. 참고 도서
제5장 권력, 권위 그리고 정당성
1. 서론 / 2. 권력 / 3. 권위 / 4. 정당성 / 5. 요약 / 6. 참고 도서
제6장 법, 질서 그리고 정의
1. 서론 / 2. 법 / 3. 질서 / 4. 정의 / 5. 요약 / 6. 참고 도서
제7장 권리 의무 그리고 시민권
1. 서론 / 2. 권리 / 3. 의무 / 4. 시민권 / 5. 요약 / 6. 참고 도서
제8장 민주주의, 대의제 그리고 공적 이해관계
1. 서론 / 2. 민주주의 / 3. 대의제 / 4. 공적 이해관계 / 5. 요약 / 6. 참고 도서
제9장 자유, 관용 그리고 해방
1. 서론 / 2. 자유 / 3. 관용 / 4. 해방 / 5. 杵?/ 6. 참고 도서
제10장 평등, 사회 정의 그리고 복지
1. 서론 / 2. 자유 / 3. 관용 / 4. 해방 / 5. 요약 / 6. 참고 도서
제11장 재산, 계획 그리고 시장
1. 서론 / 2. 재산 / 3. 계획 / 4. 시장 / 5. 요약 / 6. 참고 도서
제12장 전통, 진보 그리고 이상사회
1. 서론 / 2. 전통 / 3. 진보 / 4. 이상사회 / 5. 요약 / 6. 참고 도서
참고 문헌
역자 후기
색인
저자
앤드루 헤이우드Andrew Heywood
앤드루 헤이우드(Andrew Heywood)는 크로이던 대학의 연구소장이며, 「정치 이데올로기(Political Ideologies)」, 「정치(Politics)」, 「정치의 주요 개념(Key Concepts in Politics)」의 저자이다. 그는 '통치와 정치' 분야에서 영국 대학 입학시험(A-Level) 심사원장이다.
역자
이종은, 조현수
이종은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켄트주립대학교에서 “플라톤, 홉스, 롤스에 있어서 정치적 의무라는 개념과 그 개념의 상대성”이라는 논문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런던대학교의 정치경제대학, 독일 튀빙겐대학교와 프라이부르크대학교, 모스크바 국제관계 및 세계경제연구소, 일본의 법정대학교와 오카야마대학교에서 객원연구원을 지냈다. 저서로 「사회정의란 무엇인가」(2015), 「정의에 대하여」(2014), 「평등, 자유, 권리」(2011), 「정치와 윤리」(2010), 「정치철학」(1994) 등이 있다.
조현수
독일 마부르크(Marburg) 대학에서 칼 마르크스의 정치이론, 정치사상, 정치경제학으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민대와 인하대에서 연구교수 및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논문으로는 「칼 폴라니와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의 ‘기획과 진화’」, 「로자 룩셈부르크의 정치이론에 관한 소고」, 「맑스에 있어서의 언어와 정치」, 「‘노동’과 ‘잉여가치’ 생산의 관점에서 본 Karl Marx의 ‘권력’ 개념」, 『정치경제학비판』의 사회적 소통구조에 관한 일고찰」, 「애덤 스미스와 ‘공감’의 정치」, 「소통담론의 관점에서 본 애덤 스미스의 ‘도덕’과 ‘정치경제학’」, 「도덕감정론과 국부론에 나타난 스미스의 정치이론에 관한 소고」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이기적인 개인과 공감적인 도덕』, 『맑스와 자본』, 『애덤 스미스의 도덕감정론』 등이 있다. 역서로는 『현대정치이론』, 『맑스와 정의: 자유주의에 대한 급진적 비판』, 『정치학:현대정치의 이론과 실천』 외 다수가 있다. 줄곧 마르크스주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출판사 리뷰
생동감 있고 매력적인 문체로 작성된 ?현대 정치이론?은 명료하고 아주 이해하기 쉬운 정치이론의 입문서이다. 또한 이 책은 정치 분석에서 존재하는 주요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각각의 장은 일단의 상호 연관성이 있는 용어들에 관해서 논의하며, 이 용어들이 다른 사상가와 학파들에 의해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검토한다. 이 책은 고전적인 이론만이 아니라, 동시대의 논의와 논쟁을 이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과정에서 아리스토텔레스, 루소, 마르크스 그리고 밀의 시대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요 사상가들이 기여한 바를 논평하고 있다. 또한 연관된 집단들이 얽혀 있는 주요한 정치적인 개념의 효용과 의의를 탐구함으로써 정치이론을 검토한다.
아주 성공적인 이 책의 새로운 제3 개정판은 주요한 사상과 인물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으며, 정체성과 차이, 다문화주의, 지구화, 거버넌스 그리고 유토피아 사상과 같은 쟁점을 확대하여 다룸으로써 전체적으로 수정하고, 최신의 내용으로 개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