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국가란 무엇인가

자본주의와 그 국가이론

국가란 무엇인가

자본주의와 그 국가이론

책 소개

1960년대 말부터 70년대에 이르러 서구에서는 국가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일어났다. 대체로 유럽에 지적 기원을 두고 있는 네오마르크스주의적 국가론의 때늦은 부활은 1960년대 이래 서구사회에서 제기되었던 여러 가지 논의를 그 배경으로 하고 있다. 즉 1960년대 말부터의 경제적 침체 속에서 드러난 케인즈주의 경제정책의 파탄, 60년대의 서구사회에 팽배했던 학생소요 등으로 인한 정치적 균열, 그리고 마르크시즘 내부의 이론적 변화가 그 배경을 이룬다. 이 책에서는 대체로 이러한 배경 속에서 등장한 서구에서의 국가론은 변화하는 현실 속에서의 국가의 역할과 그 성격, 그리고 국가행위가 갖는 한계 등을 설명하고 있다.

차례

1부 서론 : 국가론의 역사적 전개 1장 아리스토텔레스의 국가론 2장 고전적인 국가이론들--마르크스, 뒤르껭, 베버의 이론 3장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다원주의 패러다임, 엘리트 패러다임, 계급 패러다임 2부 논쟁 : 자본주의 국가의 성격에 관하여 4장 자본주의 국가의 문제들 5장 답론 : 니코스 폴란차스에게 6장 정치적 요소의 특수성 : 풀란차스와 밀리반드의 논쟁에 덧붙여 7장 지배하지 않는 지배계급 : 도구주의 국가론 비판을 중심으로 8장 국가도출론 : 이론사적 배경과 그 내용 9장 마르크스주의적 국가론 비판 : 정치체계론의 시각에서 3부 자본주의 국가의 경제개입 10장 국가개입의 구조적 성격 11장 공황과 경제정책 12장 노사관계와 국가개입 4부 제3세계 자본주의 국가론 13장 종속국가에 관하여 14장 과대성장국가론 :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 15장 국가의 자율성과 종속적 자본주의 : 라틴 아메리카의 경우

저자

임영일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이성형
서울대학교 라틴 아메리카 연구소 HK 교수. 부산대학교 회계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대홍수:라틴아메리카 신자유주의 20년의 경험>(그린비, 2010), <라틴아메리카의 문화적 민족주의>(길, 2010), <콜럼버스가 서쪽으로 간 까닭은?>(까치, 2003)

함께하면 좋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