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근대세계체제 II

중상주의와 유럽 세계경제의 공고화 1600-1750년

근대세계체제 II

중상주의와 유럽 세계경제의 공고화 1600-1750년

책 소개

거대한 논쟁의 중심에 섰던 출간 당시부터 독보적이고 확고한 입지를 구축한 지금에 이르기까지…… 지식인들이 선택한 그 책! 현대의 고전(古典)이 재출간되었다! 미국에서는 1974년,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에 출간되어, 지식인 사회에 거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이매뉴얼 월러스틴 교수의 「근대세계체제(The Modern World-System)」 I, II, III권이 10여 년 만에 제2판 서문을 추가하여 재출간되었다.

차례

감사의 말 제2판 서문 서론 : 17세기의 위기는 과연 있었는가? 1. 수축(B) 국면 2. 세계경제에서의 네덜란드의 헤게모니 3. 핵심부에서의 투쟁─국면 I : 1651-1689년 4. 저성장기의 주변부들 5. 기로에선 반주변부들 6. 핵심부에서의 투쟁─국면 II : 1689-1763년 참고 문헌 인명 색인

저자

이매뉴얼 월러스틴 Immanuel Wallerstein
"“세계체제 분석”의 선구적인 업적으로 잘 알려진 월러스틴은 1930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나서 1950년대에 컬럼비아 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아프리카 연구로 학사 학위를 받았다. 컬럼비아 대학교에 재직 중이던 1968년, 학생운동 사태에 개입함으로써 결국 그 학교를 떠났고 1976년 이래 1999년까지 뉴욕 주립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그리고 2005년까지 같은 대학교 산하의 “경제, 역사 체제 및 문명들의 연구를 위한 페르낭 브로델 센터”의 소장직을 맡았다. 세계사회학회(ISA) 회장을 역임한 바 있으며 1975년 「근대세계체제 I」로 미국 사회학회에서 소로킨 상을 수상했다. 저서 : The Capital World-Economy, Historical Capitalism, The politics of the World-Economy, Geopolitics and Geoculture : Essays on Changing World-System, Capitalist Civilization, Unthinking Social Science, After Liberalism, World-Systems Analysis : An Introduction, European Universalism : The Rhetoric of Power 등"

역자

유재건, 서영건, 현재열
유재건(柳在建) 부산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영건(徐榮健) 부산대학교 사학과 교수 현재열(玄在烈)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HK교수

출판사 리뷰

“자본주의적 농업과 16세기 유럽 세계경제의 기원”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제I권은 대략 1450년에서 1640년경에 이르는 이른바 “장기의 16세기”를 다루고 있다. 주로 중세 말 유럽 봉건제의 위기와 그에 뒤따른 유럽의 팽창, 세계제국의 흥망 그리고 핵심부/반주변부/주변부로 구별되는 세 지역들에서의 상이한 분업구조와 상이한 계급 및 국가구조의 성립, 즉 한마디로 유럽 세계경제가 탄생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중상주의와 유럽 세계경제의 공고화”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제II권은 1600년에서 1750년에 이르는 기간을 다루고 있다. 흔히 침체 또는 “위기”의 시대로 인식되기도 하는 이 기간을 저자는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팽창에 뒤따른 수축국면이자 공고화의 시기로 파악함으로써 “장기의 16세기”와의 본질적인 연속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절대주의 국가의 성격, “부르주아 혁명”의 실재 가능성 등 근대사의 주요 쟁점들에 대해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1730-1840년대를 다룬 제III권은 세계경제의 두 번째의 대팽창이 핵심부와 주변부에 가져온 변화들을 추적한다. 그리하여 영국의 산업혁명은 당시 영국이 세계경제 팽창의 거의 모든 이점을 누릴 수 있었기 때문에, 그리고 프랑스 혁명은 프랑스가 헤게모니 쟁탈전에서 영국에 패배했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었던 사건으로 새롭게 해석된다. 저자는 여기서 이 두 혁명 이전과 이후의 역사를 커다란 단절로 보는 종래의 일국사적인 역사해석을 거부하면서 산업혁명과 프랑스 혁명을 세계체제의 특정 시기의 특정 지역의 현상으로 규정하는 한편, 이 시기에 세계체제 안으로 병합된 오스만 투르크, 인도, 서아프리카, 러시아 등 주변부 지역의 변화도 상세히 추적한다.

함께하면 좋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