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치론
시민정부의 참된 기원, 범위 및 그 목적에 관한 시론
책 소개
정치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존 로크의 고전
제2판 출간!
존 로크의 『통치론』은 시기를 달리하여 쓰인 두 편의 긴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통상 첫 번째 논문을 「첫 번째 논고」로, 두 번째 논문을 「두 번째 논고」로 부르는 것이 영미학계의 관행이다. 아울러 「첫 번째 논고」는 “로버트 필머 경 및 그 추종자들의 그릇된 원칙과 근거에 대한 지적과 반박”, 그리고 「두 번째 논고」는 “시민정부의 참된 기원, 범위 및 목적에 관한 시론”이라는 부제가 있다. 그러나 필머에 대한 로크의 비판을 담고 있는 「첫 번째 논고」는 다분히 파괴적이었으며, 오늘날에는 그 자체적인 의미를 가지기 어렵다. 그러므로 로크 당대에도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대륙에서 주로 「두 번째 논고」만이 번역되어 출간되었고, 오늘날 영미에서도 「두 번째 논고」만을 대학의 교재로 사용하는 것이 관행이다. 따라서 이 책 역시 「첫 번째 논고」를 제외하고, 로크가 서양의 근대 정치사상에 건설적으로 기여한 바를 담고 있는 「두 번째 논고」만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차례
제1장 서론
제2장 자연상태에 관하여
제3장 전쟁상태에 관하여
제4장 노예상태에 관하여
제5장 재산에 관하여
제6장 부권에 관하여
제7장 정치사회 또는 시민사회의 기원에 관하여
제8장 정치사회의 기원에 관하여
제9장 정치사회와 정부의 목적에 관하여
제10장 국가의 형태에 관하여
제11장 입법권의 범위에 관하여
제12장 국가의 입법권, 집행권 및 연합권에 관하여
제13장 국가권력의 종속에 관하여
제14장 대권에 관하여
제15장 부권, 정치적 권력 및 전제적 권력에 관한 종합적 고찰
제16장 정복에 관하여
제17장 찬탈에 관하여
제18장 폭정에 관하여
제19장 정부의 해체에 관하여
로크 연보
역자 해제: 존 로크의 생애와 사상: 『통치론』을 중심으로
역자 후기
저자
존 로크John Locke
1632년 잉글랜드 남서부 서머싯에서 태어났다. 1647년에 웨스트민스터 학교에 들어갔으며, 1652년 옥스퍼드 크라이스트처치 칼리지로 진학했다. 1658년 석사 학위를 받은 후 옥스퍼드에서 연구직으로 일했다. 고전 학문 외에 자연과학과 의학에 관심이 많아 로버트 보일, 아이작 뉴턴과 학문적 교류를 나누었다. 1666년 입헌군주제, 시민적 자유, 종교적 관용을 옹호하는 당대의 정치가 애슐리 경의 주치의가 되었으며, 이 일을 계기로 잉글랜드 정치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훗날 새프츠베리 백작이 된 애슐리 경이 반역죄로 몰려 네덜란드로 망명하게 되자, 1683년 로크도 네덜란드로 망명했다.
명예혁명으로 제임스 2세가 쫓겨난 후 1689년 잉글랜드로 다시 돌아왔다. 외교관 자리를 제의 받았으나 거절하고 말년에 조용히 저술 활동에 몰두했다. 1704년 《통치론》의 저자임을 밝히는 유언장을 남기고 사망했다. 하이레이버 교구 교회에 묻혔다.
역자
강정인, 문지영
강정인
서울대학교 법대 졸업(1977)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버클리 분교 정치학 박사(1987)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1989-2020)
저서 : 『자유민주주의의이념적초상』(1993), 『소크라테스, 악법도법인가?』(1994), 『서구중심주의를 넘어서』(2004), 『넘나듦의 정치사상』(2013), 『한국 현대 정치사상과 박정희』(2014), 『교차와 횡단의 정치사상』(2019 : 편저)
역서 : 『플라톤의 이해』(1991), 『마키아벨리의 이해』(1993), 『홉즈의 이해』(1993), 『마르크스에 있어서 필요의 이론』(1990), 『현대 민주주의론의 경향과 쟁점』(1994 : 공역), 『로크의 이해』(1995 : 공역), 『로마사 논고』(2003 : 공역), 『군주론』(2008 : 공역)
문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
저서 : 『지배와 저항』(2011), 『홉스 & 로크 : 국가를 계약하라』(2007)
역서 : 『로크의 이해』(1995 : 공역)